After screening talk at Space Noah in Seoul (photo: Heeyoung Park, FinalStraw.org | CC BY-SA)

자연농, 변화의 시작

8월 마지막 주, 서울과 홍천에서 ‘작은 상영회’가 이어졌습니다. 그동안 저희의 시선에만 갇혀있느라 발견할 수 없었던 여러 부족한 점들, 바꿔나가야 할 부분들을 새롭게 발견할 수 있었던 뜻깊은 기회였습니다. 아울러 이 다큐멘터리가 완성된 후의 주요 관객층에 대해서도 함께 고민해볼 수 있었습니다. 지난 날 저희가 그랬던 것처럼, 도시에서 나고 자라왔지만 쭉 살아온 삶의 방식에 뭔가 문제가 있다는 걸 알게 된 사람들, 다른 생명들과 공존할 수 없는 인간중심적인 삶을 더이상 지속할 수 없다는 걸 느끼고 있는 사람들에게 좀 더 초점을 맞추어 다큐에 담긴 메시지를 가다듬고자 합니다. 다큐 프로젝트를 처음 시작한 3년 전과 비교해보았을 때, 시간이 갈수록 점점 더 비슷한 문제의식이 널리 퍼져나가고 있다는 걸 느끼게 됩니다. 다시 말하자면, 우리가 먹을거리를 길러내는 방식, 물건들을 만들어내는 방식, 그리고 우리가 서로를 대하는 방식과 지구를 받아들이는 방식, 이 모든 방식들에 큰 변화가 있어야 한다는 걸 깨닫는 사람들이 점점 더 늘고 있다는 것입니다. 하지만 아직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디서 어떻게 변화를 일으킬 수 있을지 잘 알지 못합니다. 다큐 ‘자연농’은 무언가를 시작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자, 보다 나아가 바로 그 시작 자체가 되고자 합니다.

 

Feedback session at Space Noah in Seoul, Korea

저희와 깊은 인연을 맺고 있는 ‘스페이스 노아’에서 열린
8/25일의 작은 상영회의 풍경입니다.

IMG_7728

다큐 상영이 끝나고도 1시간 이상 활발한 의견나눔의 시간을 가졌습니다.
20대부터 50대까지, 도시의 직장인부터 농부, 건축가, 의사 등등
각계각층의 관객들이 저마다의 생각을 말씀해주셨습니다.

 IMG_7699

소중한 의견을 전달해주신 모든 분들께,
그리고 이 자리를 마련하는데 도움을 주신 닥터노아의 박근우 원장님께 감사드립니다.​

 

_PML6874

이어서 지난 주말, 이 다큐가 처음 시작되었던 홍천의 최성현님 댁을 찾아뵙고
함께 논밭을 둘러보며 이야기 나누고, 마을회관에서 작은 상영회를 열었습니다.

_PML6865

온갖 생명들로 활기찬 늦여름의 초록 논은 아름다웠습니다.
지난 봄 직접 심은 그 어린 모들이 이렇게 쑥쑥 잘 자라났다니,
비록 아주 작은 일손 보탬이었지만, 무척 뿌듯한 마음이었습니다.​

_PML6870

2년 전 여름, 후쿠오카의 농부들을 취재하던 때 큰 도움을 주었던 친구 오하이오,
그때는 엄마 뱃속에 있던 아기 가야도 그새 세상으로 나와 이렇게 씩씩하게 자랐습니다.​​

_PML6873

가까운 친구이자 힐링음악 뮤지션인 봄눈별, ‘필요하면 마음대로 써도 돼’ 하며 보내준 봄눈별의 음악들을
저희 다큐 곳곳에서 아주 적절하게, 아름답게, 잘 활용하게 되었습니다. “정말 고마워!”
​​

_PML6890

_PML6896

마을회관에서 함께 다큐를 본 후, 다시 집으로 돌아와 마루에 빙 둘러앉아
막걸리잔을 기울이며 긴긴 이야기들을 나누었습니다.​​

_PML6921

다음 날 점심, 밭에서 막 따오신 온갖 푸성귀들과
직접 기르신 들깨로 짠 들기름을 듬뿍 넣은 최고의 비빔밥 🙂

 

_PML6923

쭉 블로그로만 뵈어왔던 담양 은하수농장의 은미님, 두하님 두 분과도
새롭게 인연을 맺을 수 있어 더욱 즐겁고 따듯했던 시간이었습니다.